이진 검색 트리
1 초 | 256 MB | 18914 | 7178 | 5039 | 37.916% |
문제
이진 검색 트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이진 트리이다.
- 노드의 왼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는 노드의 키보다 작다.
- 노드의 오른쪽 서브트리에 있는 모든 노드의 키는 노드의 키보다 크다.
- 왼쪽, 오른쪽 서브트리도 이진 검색 트리이다.

전위 순회 (루트-왼쪽-오른쪽)은 루트를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 트리를 순서대로 방문하면서 노드의 키를 출력한다. 후위 순회 (왼쪽-오른쪽-루트)는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서대로 키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위의 이진 검색 트리의 전위 순회 결과는 50 30 24 5 28 45 98 52 60 이고, 후위 순회 결과는 5 28 24 45 30 60 52 98 50 이다.
이진 검색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졌을 때, 이 트리를 후위 순회한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트리를 전위 순회한 결과가 주어진다. 노드에 들어있는 키의 값은 106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모든 값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지며, 노드의 수는 10,000개 이하이다. 같은 키를 가지는 노드는 없다.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이진 검색 트리를 후위 순회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풀이
이진트리에서 노드의 크기가 정해져있는 경우 ArrayList를 사용했지만 노드의 숫자 범위가 매우 자유로운 경우 ArrayList 크기의 한계가 발생할 것이다(문제의 경우 노드의 수가 10,000개 이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 이에 대한 방법으로 Class 객체를 맞춤형 객체 구조를 만들어 활용할 수 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static class Node{
int num;
Node left, right; //하위 노드를 생성
Node(int num){
this.num = num; //Class에는 parameter를 초기 설정으로 할 수 없으므로
//생성자(Constructor) 활용
}
void insert(int n) { // 내부 insert 메소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if(n<this.num) {
if(left == null) {
this.left = new Node(n);
}else {
this.left.insert(n);
}
}else {
if(right == null) {
this.right = new Node(n);
}else {
this.right.insert(n);
}
}
}
}
static void postorder(Node node) {
if(node==null) return;
postorder(node.left);
postorder(node.right);
System.out.println(node.nu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top = Integer.parseInt(br.readLine());
Node root = new Node(top); //맨 위의 값(top)을 루트 객체로 명명
String s;
while(true) {
s = br.readLine();
if(s==null || s.equals("")) break;
root.insert(Integer.parseInt(s));
}
postorder(root);
}}
'Study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Baekjoon1051: 숫자 정사각형 (0) | 2022.01.22 |
---|---|
[Python] Baekjoon2869: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0) | 2022.01.20 |
Baekjoon1991: 트리 순회 (0) | 2022.01.19 |
Baekjoon11725: 트리의 부모, 숏코딩 (0) | 2022.01.18 |
Baekjoon1707: 이분 그래프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