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만약 아프리카 코이코이족의 언어인
코이산어로 홍보용 사이트를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 이해하는 사람은 적고 해석에도 시간이 걸리겠죠
만약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언어가 지역마다 달랐다면
전세계는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통신하기 위해 서로가 같은 언어 규칙을 사용해야합니다
이 규칙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합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 텍스트 전송 규약
*하이퍼텍스트: 다른 문서로 연결될 수 있는 문서
크롬 등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사용자(Client)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Server)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규칙이 HTTP 입니다
즉,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입니다
비연결성
HTTP의 경우 한 번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면
*더 이상 연결이 지속되지 않습니다
대신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TCP/IP 기반)
*비연결성의 단점도 분명히 존재하기에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로 해결합니다
단순함 & 확장성
전송방식이 조금 다양할 뿐
HTTP 형식 자체는 매우 단순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30년 동안 진화를 거듭하고 있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합의만 한다면
언제든지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HTTPS
HTTP Secure 의 약자, HTTP의 암호화 버전
사용자와 서버가 HTTP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때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이를 위해 현재 TLS를 사용합니다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TLS는
제 3자의 데이터 변형과 감시를 방지하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과거에는 Secure Sockets Layer(SSL)
참고한 글
'Study >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지식: 호스팅(Hosting)이란?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0) | 2021.11.29 |
---|---|
IT지식: 브라우저의 개념과 동작 원리 요약 - 파싱과 렌더링 엔진 (0) | 2021.11.24 |
인터넷(Internet), 도메인 네임(Domain name), DNS 개념 이해 (0) | 2021.11.23 |